2021. 7. 29. 22:45ㆍJetson
Jetson Nano에서 주로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다보면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라는 경고를 볼 수 있다. 원인의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할 수 있는데,
https://forums.developer.nvidia.com/t/system-throttled-due-to-over-current/158055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I’m using a Jetson Nano Developer Kit B01 with a fresh install of Jetpack 4.4.1. It’s powered through the barrel connector, using a 5.15V, 4A USB power brick. Immediately after displaying the Desktop, a notification appears that says “System throttle
forums.developer.nvidia.com
Jetson Nano 의 저전압 (under voltage) 또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매커니즘 경고장치라고 한다. 위의 NVIDIA 포럼 링크에서 살펴본 바로는 해결책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전원에 연결하는 microUSB를 최대한 짧은 것을 써라. 그래야 전력 손실이 안난다.
- USB 어댑터를 규격이 최소 5.5V, 3A 이상인 걸 써라. (어댑터 보면 정격규격 스티커가 붙어있으니 그걸 보면 된다)
하지만 또 아래 링크에서는 USB 어댑터는 5V 이상은 쓰지 말라고 하기도 한다. 도대체 뭐지...
https://piveral.com/jetson-nano-power-supply-guide/
아무튼 나는 일단 대충 다이소에서 산 5V, 4.2A 짜리 USB 어댑터를 쓰고 있고, 혹시라도 전원때문에 Jetson Nano가 망가질 수 있으니 해당 경고가 나는지를 주의깊게 모니터링 하면서 Jetson Nano를 쓰고 있다.
- 모니터에 Nano 를 연결해서 쓰고 있다면 GUI 상에서 경고 메세지가 뜰테니 사용하면서 경고받을 것이고,
- 나처럼 주로 다른 PC에서 SSH 접속하여 Command line으로 Nano를 쓴다면, 커널 메세지로 유추하면서 쓰는 방법밖에 없다.
dmesg --follow
해당 명령어로 커널 메세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OC ALARM 0x00000001' 메세지가 뜨면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경고가 떳을 것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여기서 OC는 'Over Current' 를 의미한다.
참 대충 Jetson Nano 를 이런것까지 조심해서 써야하나 싶기도 하다. 하지만 나처럼 제조업 라인에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개발자라면 현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니 어댑터까지도 신경써줘야 하겠다. 앞으로 Jetson Nano를 현장에 가져다 둘 일이 많을텐데 뭔가 어댑터로 Nano 를 태워먹은 일이 생기면 공유하도록 하겠다.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USB로 부팅 디스크 만들기 (15) | 2022.01.19 |
---|---|
Jetson Nano 와 AGX Xavier 의 초기세팅 방법은 다르다. (0) | 2021.08.14 |
Jetson Nano로 SSH 원격접속하기 (0) | 202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