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0)
-
GCP에서의 CI/CD 파이프라인 구축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GCP에 구축한 CI/CD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GCP에서는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도록 몇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적인 스크립트 작성은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GCP의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방향으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현재 운영중인 서비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PI 서버는 사내 AI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API 를 제공하고 있다. 유저들은 이 API를 사용하여 자신의 데이터로 Data preprocessing, Training, Inference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API 서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도 바인딩 되어 서비스를 하는 등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API 서버는 Fast API 라는 Pyth..
2021.06.29 -
VS Code와 VM 연동하기 2편 (응용: Bastion, Jump Server 가 있을 경우)
위 그림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보안상 VM2로는 바로 SSH 접속을 할 수 없고 VM1을 거쳐야만 접속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여기에서 VM1은 Bastion 서버 또는 Jump 서버로 불린다. 이 때 VM2에 있는 소스코드를 VS Code 로 어떻게 연동할 수 있을까? 먼저 VS Code 와 VM 연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은 VS Code 와 Google Compute Engine을 연동해보자 (Remote SSH)에서 다루었으니 참고 바란다. VM1,2 는 모두 Ubuntu 20.04 임을 가정한다. VM1, 2의 openSSH (Private Key) 키 준비 VM1, 2에서 생성한 Private Key 를 VS Code 가 있는 PC 에 다운로드 받는다. P..
2021.06.29 -
VS Code 와 Google Compute Engine을 연동해보자 (Remote SSH)
MS에서 개발한 VS Code는 간단한 UI와 다양한 편의기능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코드에디터이다. 나도 VS Code를 메인으로 사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GCP를 이용하다보면 Google Compute Engine (GCE) 상의 소스코드를 수정하고 싶을 때가 있다. GCP Console 에서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용 SSH로 들어가서 VIM을 사용하여 소스코드를 수정할 수도 있지만, VIM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소스코드 수정에 상당히 불편함을 겪을 때가 있다. 이 때, 좀 더 자신에게 익숙한 VS Code로 소스코드를 사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코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에서는 GCE상의 소스코드를 자신의 개발용 PC에서 VS Code로 수정할 수 있도록 SSH 원격연동하..
2021.06.26 -
자신의 Docker 개발환경을 Container Registry 와 연동하기
이 글에서는 GCP 외부의 Dokcer 개발환경 도는 GCP의 VM과 Container Registry 를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Google Container Registry (GCR)이란? GCP 내에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 관리할 수 있는 Docker Registry 이다. 매우 간단하게 Private 또는 Public Docker Registry를 구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GCP 내에 Container Registry 를 사용하고 있다는 전제로 개발환경과의 연동방법을 설명한다. https://cloud.google.com/container-registry GCP 외부서버(Ubuntu 20.04) 와 GCR 연동 자신의 개인 또는 사내환경에 있는 Ubuntu 서버와 GCR을 ..
2021.06.25 -
일반 Linux 환경에서 gsutil 사용하기 (Cloud Storage 데이터 업로드, 다운로드)
종종 GCP 환경 밖에서 Cloud Storage로 데이터를 올려야 하는 때가 있다. 윈도우나 리눅스 GUI 환경이라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GCP Console에서 바로 업로드 할 수 있는 방법도 있겠지만, Linux Shell 인 경우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기가 쉽지가 않다. GCP의 Linux VM을 쓴다면 gcloud 인증을 쉽게 진행할 수 있어서 gsutil 명령어를 사용하기 쉬운데, 클라우드 외의 일반 Linux에서는 gsutil 환경을 세팅하기가 간단하지가 않다. 이 글에서는 일반 Linux 환경에서 Cloud Storage의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gsuti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Google Cloud SDK 설치하기 gsutil를 이..
2021.06.25 -
윈도우 VM에 실행한 웹서버에 접속이 안될 경우 (GCP 방화벽 설정)
GCP에서 Windows VM을 만들었고 해당 VM에 특정 서비스를 띄워서 서비스를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가령 BI툴인 Tableau Server 를 띄워서 사내 직원들에게 서비스하고 싶은 경우이다. 대부분의 GCP유저들은 대체로 이런 방법으로 VM을 만들고 서비스를 띄울 것이다. Windows VM 만들기: GCP에서는 매우 간단하게 VM을 만들 수 있다. 보통 서버에서 웹서비스를 띄울 생각이라면 http 트래픽과 https 트래픽 허용하는 것도 설정해주고 , VM을 만들면서 VPC Network 설정도 해줄 것이다. COMPUTE -> Compute Engine -> VM Instances -> CREATE INSTANCE VPC Network의 Firewall 설정: 웹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
202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