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
-
Jetson Nano 와 AGX Xavier 의 초기세팅 방법은 다르다.
회사에서 Jetson 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하면서, AGX Xavier와 Nano 제품 모두를 쓰고 있다. 하지만 그 세팅방법은 조금 다르다! 뭐 Jetson 을 구입하면 동봉되어 있는 설명서가 잘 되어있기 때문에 별 의식하지 않고 써도 되지만 일단 차이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보면 이렇다. Jetson Nano: Micro SD Card 에 이미지를 이미지를 구워서 Jetson Nano 에 꽂아서 세팅을 시작한다. (Xavier NX 도 해당)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get-started-jetson-nano-devkit AGX Xavier: NVIDIA SDK Manager 를 다운받아 micro USB 를 통해 세팅을 시작한다. 즉, 초기세..
2021.08.14 -
Jetson Nano로 SSH 원격접속하기
이번 블로그는 사실 Jetson Nano에 대한 글이라기 보다는 리눅스의 일반적인 글에 해당하기도 한다. 보통 개인이 Jetson Nano를 쓰는 경우는 메인PC (Desktop 이 되었든 노트북이 되었든)을 가지고 있고, Jetson Nano 를 옆에 두고 같은 공유기에 묶어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런 느낌이다. 이 때, 메인PC와 Jetson Nano의 모니터가 각각 달려있고 매우 넓은 책상을 가지고 있어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각각 따로 연결해서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모를까, 나처럼 그닥 넓지도 않은 책상에서 그것도 모니터 하나만 가지고 어지럽게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메인PC에서 Jetson Nano로 원격접속해서 쓰고싶은 욕망이 있을 것이다. 그런 개발자들을 위해 ..
2021.07.29 -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경고가 날 경우 - Jetson Nano
Jetson Nano에서 주로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다보면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라는 경고를 볼 수 있다. 원인의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할 수 있는데, https://forums.developer.nvidia.com/t/system-throttled-due-to-over-current/158055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I’m using a Jetson Nano Developer Kit B01 with a fresh install of Jetpack 4.4.1. It’s powered through the barrel connector, using a 5.15V, 4A USB power brick...
2021.07.29 -
쓰나미의 흔적을 직접 보았다.
친한 일본인 직장인 동료들 다여섯명과 센다이로 1박2일 여행을 간 적이 있다. 센다이는 일본의 동북지역으로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큰 피해를 입은 후쿠시마 원전과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한국 관광객들은 잘 찾지 않는 도시이다. 하지만 평소에도 마음을 터놓고 지내던 일본인 동료들이 가자고 하기에 별다른 신경은 쓰지 않고 함께 갔던 것 같다. 첫날은 센다이 도시 내에서 이것저것 관광을 했고 두번째날은 센다이 근교를 차를 타고 돌아다녔는데, 서로 딱히 다들 어딜 가야겠다 이런 목적지도 없이 단순히 지나가다보니 이런 곳이 있다더라 이런 느낌으로 드라이브를 했던 것 같다. 직접 내가 운전을 하진 않았지만 장시간 차에 타있어 노곤했던지 슬슬 잠이 몰려올 즈음 한 공사판처럼 보이는 흙먼지가 가득한 곳에서 차가..
2021.07.07 -
도쿄에 일하면서 좋았던 점
2014년 10월. 학부생활을 마치고 첫 직장을 일본회사로 정했고 그렇게 홀로 도쿄로 떠나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지금 생각하면 26살이라는 어린나이이기 때문에 아무런 미래 계획도 없이 무작정 그렇게 해외에서 일해보겠다고 떠났던 것 같다. 그렇게 아무생각 없이 떠나서 그런지 약 5년 조금 넘게 도쿄에서 일을 하고 나는 한국으로 돌아왔다. 5년이라는 길면 길고 짧으면 짧은 일본생활이었지만 도쿄에서 일하면서 좋았던 점에 대해서 몇가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한국이랑 가깝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가까운 나라인만큼 정말 한국이랑 가깝다. 인천공항에서 도쿄 나리타 공항까지 2시간 2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해외여행을 가보지 않았거나 장거리 여행을 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이게 얼마나 짧은 거리인지 모를 수 있는..
2021.07.05 -
Source Repositories 에 SSH Key 연동하기 (GCP)
로컬 PC에서 GCP의 Source Repositories 에 코드를 커밋하거나 푸쉬할 수 있도록 SSH key로 연동을 해보자. 세팅 환경은 다음과 같다. 로컬 PC: Ubuntu 20.04 또는 일반적인 리눅스 환경 Note: 리눅스 계열은 물론 Windows 환경에서 Git Bash 를 설치할 경우에도 이 방법으로 SSH Key 연동을 할 수 있으니 한번 시도해 보자. 로컬 PC에서 SSH Key 생성 다음 명령어로 SSH Key 를 생성한다.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email@domain.com" # 이메일은 예시이므로 본인의 이메일 주소로 바꾸어준다. 생성 시에 두가지를 물어볼 것이다. 1. SSH Key를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 딱히 다른경로에 저장할 이..
2021.06.30